두릅 하나, 취나물 몇 잎이면 풍성해지는 봄철 밥상
작성자 Bq8dAjo9U
작성일 19-06-05 20:32
조회 82
댓글 0
본문
'계절'을 파는 양양 오일장으로 오세요
충주콜걸
[오마이뉴스 정덕수 기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과천출장안마
건강한 재료로 조리한 음식(요리)을 찾는 이들이 날이 갈수록 늘어난다. 나물을 넣고 지은 밥이 건강식으로 식당에 떡하니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이렇게 된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경제적 여유가 생기며 살기위해 먹던 음식에서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재료로 즐겁게 먹느냐로 옮겨진 결과다.
고령출장안마
기왕에 먹을 거 싱싱하고 건강을 지켜줄 수 있다면 상당한 대가를 치르고라도 먹어야 직성이 풀리는 또 다른 이유는, 사람이 지닌 욕망 가운데 '식욕(食慾)' 또한 빠트릴 수 없다.
|
▲ 나물밥 한 상 4월 봄나물이 시작되면 밥상은 더 풍성해진다. 금방지은 밥에 소금과 들기름으로 무친 어수리나 취나물을 고루 섞어 나물밥을 담아내고, 고등어 한 토막을 구어도 취나물이나 초피순 튀김을 곁들여 먹을 수 있는 계절이다. |
포천출장안마
ⓒ 정덕수
봉화출장안마
안산출장안마
음식과 사람의 건강이 뭔 상관이겠느냐 하는 이들은 없을 것이다. 다만 거친 음식이라도 배부르면 된다는 사람도 있기는 하지만.
그런데 전문적인 의학지식이 없어도 음식을 먹고 섭취한 영양소가 사람의 각 장기에 필요한 에너지원이란 건 안다. 일생 동안 깨끗한 피부와 밝은 눈도 따지고 보면 끊임없이 재생과 퇴화를 거듭하는 세포 조직을 이루는 영양소가 적절하게 공급되느냐 덜 공급되느냐로 나뉜다.
경산콜걸
남새(밭에서 파종을 하거나 모종을 심어 기른 풀)와 푸새(산과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로 구분지어 같은 종류도 나뉘고 가치도 다르다. 거기에 남새도 유기농인지, 친환경인지 나뉘기도 하고, 무농약과 저농약으로도 나뉜다.
순창출장샵
왜 이런 구분법이 생겨났을까?
다른 이유가 있을 까닭이 없다. 바로 건강한 음식을 먹어야 사람이 건강하게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쌀농사를 짓는 농부가 양곡상에 내는 벼는 농약을 치고, 가족이 먹는 벼는 농약을 안 친다는 얘기는 이젠 모르는 사람이 없다.
농약이 사람의 건강에 이롭지 않다는 걸 알기에 농부 스스로 그렇게 해서 경제적 이득을 올리는 벼는 농약을 쳐서라도 많이 생산하려는 것이고, 가족과 먹을 쌀을 도정할 벼엔 농약을 안 치는 거야 소출은 적더라도 건강한 밥을 먹겠다는 지극히 평범한 발상이다.
결과적으로 남새밭에도 온갖 병해충과 보기 좋은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농약을 사용하고, 가족이 먹을 남새는 농약을 치지 않는 것이다. 왜 그렇게 하느냐 물으면 어리석다. 소비자는 농사를 모르거나 안다고 해도 일단 깨끗하고 보기에 좋아야 장바구니에 담으니 농약을 안 칠 재간이 없다.
벌레 먹은 청겨자와 벌레가 안 먹은 청겨자가 있다면 어느 걸 장바구니에 담는지 지켜보면 안다. 벌레가 먹은 건 외면 받다 결국엔 쓰레기통으로 들어간다. 벌레도 못 먹는 거라야 장바구니에 담다니 이렇게 웃긴 상황이 실제로 우리들 밥상의 현주소다.
|
▲ 들나물 4월 중순으로 접어들면 양양장날은 나물이 절반을 차지한다. 남새가 주종이지만 들이나 비교적 야트막한 산자락에서 채취한 온갖 들나물도 이때 맛 볼 수 있다. |
ⓒ 정덕수 |
|
▲ 참취 대부분 곰취를 최고의 나물인줄 안다. 하지만 옛날부터 어른들은 먹을 수 있는 꽃은 참꽃, 목 먹는 꽃은 개꽃으로 부르듯 나물도 그렇게 이름을 붙였다. 취 중에 최고는 참취고 나물 중에 최고는 참나물이다. |
ⓒ 정덕수 |
|
▲ 두릅된장무침 “그 집 음식 맛을 알려면 장맛을 보면 된다”던가, 된장에 고춧가루 조금 넣고 데친 두릅 쭉쭉 찢어 무치면 막걸리 안주로나 밥반찬으로 그저 그만이다. |
ⓒ 정덕수 |
마트 밖을 나와 양양시장을 돌아보자. 철따라 제철 음식재료가 손님을 기다리는 곳이 바로 여기다. 계절은 물론이고 지금이 몇 월인지 달력을 볼 필요도 없다. 좀 더 엄밀하게 분석하면 같은 달이라도 대략 며칠인지까지 확인된다.
그럴 수 있는 이유는 이곳엔 전문적으로 야채나 나물을 파는 상인도 있지만, 장이 서는 날 아침 일찍 각 마을에서 출발하는 시내버스를 타고 나온 아주머니들 덕이다.
현남 지역에서 나온 아주머니와 복골에서 나온 아주머니가 보자기를 풀어 내놓는 물건이 다르다. 4일장엔 현남에서 먼저 두릅이 나오고, 9일장엔 두 곳 다 두릅이 손님을 기다린다. 그리고 다시 14일 장이면 현남은 또 다른 푸새가 더해지고는 순서로 장날 풍경은 새로운 푸새와 물건들로 계절을 알린다.
14일 장엔 두릅이 넘쳐나고, 19일장부턴 곰취와 참취가 장에 나오기 시작한다. 푸새랄 수는 없지만 남새 중에선 그나마 봄나물의 왕이랄 수 있다. 예전처럼 산에 기대 사는 이들이 적은 요즘은 곰취는 물론이고, 누리대나 병풍취는 푸새를 만나기 어렵다.
물론 해발 1000m 이상 되는 산에서 채취하는 나물 좋다는 거 이 아주머니들이라고 모르진 않으나, "하이고 그거 누가 가서 따와요. 다 늙어 무릎고뱅이가 말을 안 듣는데"란 말 그대로 산촌엔 산을 오를 젊은 사람이 없다. 산나물 얘기에 젊어서 산에 올라가 나물 뜯던 얘기로 시간가는 줄 모르며 각자 얘기 보따릴 풀어낸다.
아주머니들이 내놓은 물건을 잘 살펴보면 푸새도 제법 된다. 지장가리나 지장보살나물로 부르는 풀솜대, 돌미나리, 며늘취로 부르는 금낭화는 물론이고 야산 비탈에서 종류를 가리지 않고 뜯어와서 잡나물이나 막나물이라며 파는 게 그것이다. 이 마구 섞어 뜯었다는 나물엔 쥐오줌풀, 마타리, 뚝갈(은마타리), 삼나물(미나리냉이), 잔대, 모시대, 미역취, 부지갱이나물(쑥부쟁이) 등 그야말로 온갖 야산 나물이 뒤섞여 있다.
더러 "이거 다 먹는 나물 맞아요?"라 묻는 이들도 있고, "어머, 이거 산에 많던데. 그런데 이것도 먹어요?"라며 야속하게 나물을 사지도 않으며 이것저것 뒤집어가며 몇 번씩이고 확인하는 이들도 있다.
수원출장안마
그런데 이렇게 산에 많더라고 하는 이들이 꼭 사고를 친다. 봄철에 나는 온갖 풀이 비슷하게 보여도 먹을 수 있는 것과 독초가 서로 닮은 게 얼마나 많은데 그걸 직접 산에서 뜯어 먹겠다고 욕심을 부릴까.
넌지시 "아주머니 그거 닮은 거 엄청 무서운 거 많아요. 잘못하면 단 한 번 먹고 영영 맛난 거 못 먹는 일 생깁니다"라 하면, 응원군을 얻은 양 나물 파는 아주머니 금방 표정이 펴진다. "거봐 내가 전문가란 거 저 사람이 인정하잖우. 암말 말고 어여 이거 사가" 딱 이 표정으로, 검정비닐봉지 먼저 꺼내들고 "얼마치 주세요" 하길 기다린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정덕수의 블로그 ‘한사의 문화마을’에도 실립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